본문 바로가기

임신&출산 정책 preg&birth Policy11

🎀 [2025년 임신출산 정책] [한눈에뉴스] by 보건복지부 저출산시대, 아직은 미흡한점들이 많지만해마다 임신&출산 정책이 좋아지고 있습니다2025년에도 새로 워지는 임신출산정책에 대해공유하고자합니다🥰더좋은 정책이 나오길 기다리며도움되시길바래요🩷모든 부모님들 화이팅!😉😍  제왕절개 비용 무료   분만방법 관계없이 출산가능산후조리원 평가 의무화 시범사업 추진   산후조리원의 시설,서비스 수준을 평가하여 더 나은 환경조성이른둥이 지원확대   출생초기 장기 입원이 필요한 아이들을 위한 지원기간연장부부심리&정서 상담지원   난임, 심신, 출산 후 우울증을 겪는 부부를 위한 남임, 임산부심리상담센터 확대 2025. 1. 23.
📌 2025년 달라지는 영유아 돌봄서비스 알보기 2025년부터 유보통합으로 영유아 교육, 돌봄 지원이 확대되고아이돌봄서비스도 개선됩니다!       0~5세 단계적 무상교육·보육 실현국·공립어린이집 등 공공보육 이용률 50%로 확대(’27년 까지)긴급·단시간 서비스 지원 강화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대상 소득상한 중위소득 기준 확대아이돌봄인력 양성교육기관 확대 대기업·지자체 운영 상생형 직장어린이집 확산 2025. 1. 5.
👨🏻‍👩🏻‍👧🏻‍👦🏻가족돌봄 등 근로시간 단축 제도, 가족돌봄 지원정책 알아보기 🌞"가족 돌봄 등 근로시간 단축제도"   ✅근로자가 가족 돌봄, 본인건강, 은퇴준비, 학업을 위해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하면 사업주는 허용 예외 사유가 없는 한 허용해야 합니다.남녀고용평등과 일・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22조의3(가족돌봄 등을 위한 근로시간 단축) ✅ 근로시간 단축사유   🔷가족돌봄 등 근로시간 단축 허용 예외 사유 ① 근로자의 계속 근로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② 사업주가 고용센터에 구인신청을 하고 대체인력을 채용하기 위해 14일 이상 노력하였으나 대체인력을 채용하지 못한 경우(정당한 이유 없이 2회 이상 채용을 거부한 경우에는 인정하지 않음) ③ 업무 성격상 근로시간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곤란하거나 그 밖에 가족 돌봄 등 근로시간 단축이 정상적인 사업 운영에 중대한 지장을 초.. 2024. 11. 21.
🚼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, 육아기 단축근무 알아보기 🌞"육아기의 근로시간 단축제도"    ✅ 사업주는 근로자가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하는 경우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. 다만, 허용 예외 사유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허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※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미부여 시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  [관련 법령] 남녀고용평등과 일・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_ 제19조의 2(육아기 근로시간 단축)  ❖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허용 예외 사유 ① 근로자의 계속 근로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② 사업주가 고용센터에 구인신청을 하고 14일 이상 대체인력을 채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대체인력을 채용하지 못한 경우(고용센터의 직업소개에도 불구하고 정당한 이유 없이 2회 이상 채용을 거부한 경우는 인.. 2024. 11. 20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