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임신&출산 정책 preg&birth Policy

[2]국내 임신출산 혜택 - 국민행복카드

by 홀리63 2024. 7. 19.
반응형

국가바우처사업 국민행복카드 혜택 홈페이지 바로가기

↓↓↓

국민행복카드 바우처사업정리

 

 

 

한국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는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는 임산부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,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돕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. 주요 제도로는 [국민행복카드][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]이 있습니다.

 

 

1. 국민행복카드 (하단 전자바우처사업 링크바로가기)

국민행복카드는 임산부가 임신과 출산 관련 진료비를 지원받을 수 있는 카드입니다. 이 카드는 지정된 금융기관에서 발급받을 수 있으며, 임산부는 이를 통해 다양한 혜택을 받을 수 있습니다.

⊙주요 혜택
- 지원금액: 임신 1회당 100만원 이용권(국민행복카드)지원(다태아 임산부는 140만원,분만취약지점 20만원 추가지원)

- 사용처: 산부인과 진료비, 약국, 병원, 조산원, 산후조리원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유효기간: 카드 수령 후 분만예정일 이후 2년까지, 동 사용기간 내 미사용한 잔여금액은 자동소멸

- 임산부는 서비스 사용 전에 바우처량 확인 가능

   공단홈페이지 사이버민원센터(http://minwon.nhis.or.kr)/민원신청/개인민원/보험급여/임신출산진료비잔액확인

- 국민행복카드: BC카드 콜센터(1899-4651)/ 롯데카드 콜센터(1899-4282)/ 삼성카드 콜센터(1566-3336)/ KB국민카드 콜     센터(1599-7900)/ 신한카드콜센터(1544-8868)

- 결제 시 카드 매출전표 및 문자 SMS를 통해 확인 가능

- 신청 및 기타 문의사항:  국민건강보험공단 콜센터(1577-1000)


신청 방법
1. 임신 확인서 발급: 임산부는 산부인과에서 임신 확인서를 발급받습니다.
2. 카드 발급 신청: 국민행복카드를 취급하는 금융기관(예: KB국민카드, 삼성카드, 신한카드 등)에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      카드 발급을 신청합니다.
3. 카드 수령 및 사용: 발급받은 카드를 수령한 후, 지정된 의료기관에서 진료비를 결제할 때 사용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2. 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

건강보험을 통해 임신과 출산 관련 진료비를 지원받을 수 있습니다. 이는 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 제공하는 혜택으로, 임산부와 신생아의 건강을 보호하기 위해 마련된 제도입니다.

⊙주요 혜택 
- 임신 중 검사: 임신 초기, 중기, 후기의 정기적인 산전검사 비용 일부를 지원합니다.
- 출산 후 검사: 출산 후 6주 이내의 신생아 건강검진 비용을 지원합니다.
- 정밀 초음파 검사: 고위험 임신의 경우 추가적인 정밀 초음파 검사 비용을 지원합니다.

 신청 방법 
1. 임신 확인서 제출: 임신 사실을 확인받은 후, 임신 확인서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합니다.
2. 진료비 청구: 산부인과 진료비를 결제할 때, 진료비 영수증과 함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진료비를 청구합니다.
3. 환급: 진료비 청구 후, 지원금액이 임산부의 계좌로 환급됩니다.

⊙추가 혜택 및 지원 프로그램 ⊙
1.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
- 지원 대상: 출산 후 회복이 필요한 산모와 신생아를 대상으로 제공됩니다.
- 서비스 내용: 가정 방문 서비스를 통해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의 건강 관리를 지원합니다.
- 신청 방법: 보건소 또는 지역 사회복지 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2. 출산 장려금
- 지자체별 지원: 출산 장려금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며, 지역에 따라 지원 금액과 조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첫째 아이부터 지원금을 지급하는 지역도 있고, 둘째 아이부터 지원금을 지급하는 지역도 있습니다.
- 신청 방법: 출산 후 주민센터나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참고 사항

    - 지역별 차이: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,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보건소나 주 민센 터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- 추가 지원 프로그램: 일부 지역에서는 추가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, 해당 지역의 보건소나 주민센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참고하세요.

 

※ 전자바우처사업 바로가기↓ ↓ ↓

https://www.socialservice.or.kr:444/

 

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

바우처서비스 이용현황

www.socialservice.or.kr:444

 

반응형